티스토리 뷰

반응형

5년동안 5천만원 만들기 프로젝트! 2023년 청년도약계좌가 공개되었습니다. 소득 규모에 따라 매월 21,000원~24,000원을 지원해 주면서 비과세 혜택까지 적용 해 주는 제도인데요. 최대 납입 한도인 월 70만원씩 저축 할 경우 5년 후에 약 5천만원을 만들 수 있는 계좌입니다.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정리 해 봅니다.

청년도약계좌

2023년 청년도약계좌의 개요

 

조건 _ 나이와 소득

청년도약계좌는 이름처럼 청년들을 지원 해 주는 계좌인데요. 만 19세~34세 이하의 청년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남자의 경우 병역이행기간을 제외로 두기 때문에 만 34세 이후라도 군 복무 기간을 제외하고 계산 해 보시면 되니, 꼭 확인 해 보시기 바랍니다.

 

 

 

 

조건에는 개인소득이 포함되는데요. 연 6,000만원 이하라는 기준이 있습니다. 실제로 7,500만원 이하까지 지원이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정부 지원금은 없고 비과세만 적용 되기 때문에 다른 상품과 비교 해 보시고 가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또한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로만 가입이 가능한데, 본인 외에 가구 소득을 합산해서 적용되는데, 가구원의 범위는 주민등록등본에 가족으로 등재 된 신청자의 직계존비속, 형제와 자매가 해당됩니다.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 표를 보면 중위소득에 대해 알 수 있는데 중위 180% 이하인 경우에만 가입 가능하니,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기준중위소득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180% 3,740,206 6,221,079 7,982,669 9,721,735 11,395,238 13,010,366

 

2023년 6월 출시 예정이기 때문에 2022년도의 소득은 2023년 7월 쯔음에 확정이 되니, 2021년도 소득으로 가입 됩니다. 

청년도약계좌군인

가입기간과 금액

가입기간은 5년이고 납입 최대 한도는 70만원 입니다. 개인 소득에 따른 기여금 매칭 비율이 다르다는 것도 청년도약계좌가 일반 지원금과 다른 점 중의 하나입니다.

개인소득 기여금 납입한도 기여금매칭비율/
기여금한도(월)
2,400만원 이하 40만원 6% / 2.4만원
3,600만원 이하 50만원 4.6% / 2.3만원
4,800만원 이하 60만원 3.7% / 2.2만원
6,000만원 이하 70만원 3.0% / 2.1만원
7,500만원 이하 X  

 

 

 

 

 

금리와 만기수령액

계좌의 금리는 가입 후 3년간은 고정금리로 적용되고, 3년 이후에는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2,4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 청년일 경우 0.5% 우대금리가 적용됩니다.

만기수령액은 개인소득 3,600만원 이하이면서 납입기간 5년, 은행 금리를 5%, 월 납입금액 50만원으로 가정했을 경우에 만기실수령액 35,192,500원 정도가 됩니다.

총 납입금액은 월 50만원씩 60개월로 30,000,000원이 되지만, 정부기여금 4.6%에 해당하는 1,380,000은행이자 3,812,500원을 합산하여 35,192,500원 가량을 수령하게 됩니다.

 

 

 

중도해지 할 경우와 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여부

특별중도해지 사유(가입자의 사망과 퇴직, 해외이주, 폐업, 천재지변, 생애최초주택 구입과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일 경우에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 혜택도 적용 됩니다.

 

만약, 이전에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하셨을 경우에는 당장의 가입은 불가능하지만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에 순차적 가입이 가능합니다.

 

2023년 청년도약계좌의 조건에 대해 소득과 나이, 군 복무기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정부에게 지원해 주는 기여금을 합산하면 어떤 적금보다 높은 금리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이니, 조건이 되신다면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저도 젊어지고 싶군요.

 

 

 

 

 

반응형